경험치 자료/인용, 따라 해봄 96

일본 식빵 두께 기준 정리

일본 공통 규격인지는 모르겠지만,공장제는 상당수가 빵 두께를 120mm (=12cm)로 두고, 그것을 n등분한 값을 써 놓는 편이다.n호 식빵 => 빵 두께 120 / n (mm) 개인 빵집에서는 그냥 상대크기 개념처럼 쓴다. 그래서 숫자가 작은 쪽이 큰쪽보다 더 두껍다 정도만 알 수 있는 듯?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4692419 일본의 공장제 식빵 특징.jpg : 클리앙처음 알았는데 전혀 몰랐네요. 일본 말고 유럽이나 다른 외국도 이런 개념이 있을까요www.clien.net

냉복사 체감해 보기

https://blog.naver.com/ddabunhe/222991443241 에서 실내 거주자가 느끼는 따스함의 대부분은 실내공기 온도가 아닌 실내 벽체 표면 온도에 달렸다고 한다. 그리고 욕실이 춥다면 샤워하기 전 욕실 벽면에 더운 물을 뿌려서 벽체 온도를 올리면 금세 따뜻한 기운을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난방조절기 온도는 높은데 춥게 느낀다면? 평균복사온도(MRT)에 대해난방비, 열요금이 너무 올랐습니다. 큰 폭으로 오른 난방비 줄이려 여러가지 난방용품들, 난방텐트, 문풍지...blog.naver.com 실제로 온수샤워 끝나고 온수가 흘렀던 부위는 비교적 따뜻해서 서서 몸을 닦을때 문제가 없었는데, 물이 흐르지 않은 부위는 차가워서 슬리퍼를 신거나 피하게 되는 경험이 있다.그래서 온도를 측정해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