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휴대폰이든 공동인증서든 인증필요)하고나서 원하는 지자체 골라서 기부했다.
지자체끼리 포인트 호환은 안된다.
총액 10만원까지는 100% 소득공제니까 그정도는 할만하다.
나는 충주시 홍보맨이 이 제도를 광고한 영상이 기억나서, 충주시에다가 기부를 10만원 했는데, 살 만한게 딱히 없어서 소비가 그나마 될법한 간식을 골랐다. 요리 잘 안해서 농수산물이나 주류가 필요없었기에 답례품 고르기가 애매했다.
그러니 당신은 원하는 답례품을 찾아서 장바구니에 넣은다음, 그 답례품 주는 지자체에다 포인트 나누기 0.3 한 금액을 기부하고 그걸 사가는 게 좋다. 특정 지자체에 진심으로 기부하고 싶은게 아니라면야.
충주시 기부하고 나서, 다른 지자체에 15000원짜리 답례품 갖고싶은게 있어서 (시중가 2만원 쯤) 5만원 기부하고 포인트로 그걸 샀다.
'경험치 자료 > 직접 해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온수(따뜻한물)가 화장실만 세게 안나올 때 해결법 (0) | 2023.12.27 |
---|---|
카페라떼에 들어간 우유와 두유 구분을 시도했으나, 안되더라. (0) | 2023.12.21 |
요기요 실속배달 후기: 비추. 시키지 말고 가게배달로 ㄱㄱ (0) | 2023.11.23 |
스마트허브는 투야, 헤이홈 앱 중 1개에만 연동된다. (0) | 2023.11.23 |
쿠팡 리뷰쓰기 크롬에서 사진 업로드 안될 때(해결함) (0)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