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놀이 가끔 하는데, 이번에는 탕수육 무게를 정리해 보려고 한다.
가게마다 자기네 파는 기준, 가격, 무게 측정방식 등이 다르니까 재미삼아 읽어보고, 자기가 자주 먹는 중국집에서 무게를 재어 보는게 도움이 될 것이다. 배달로 받아서 소스 뺀 무게랑 소스 든 무게 등을 재어보시오.
다음 목록에서 알 수 있듯, 상대적인 비율이 비슷하지 절대적인 중량이 비슷한 것이 아니다.
단위 g
중국집 | 미니 | 소 | 중 | 대 |
대략 비율 | 0.5 | 1 | 1.5 | 2 |
스샷#1 | 160 | 260 | 390 | 550 |
측정인용#1 | X | 277 | 377 | 541 |
측정인용#2 | X | 444 | 644 | 851 |
측정인용#3 | X | 455 | 739 | 995 |
측정인용#4 | X | 490 | 780 | 1013 |
스샷#2 | 100 | 160 | 260 | 320 |
비율은 대충 정리한 것이다. 1:2:3:4로 썼다가, 미니 없는 곳도 많으니 소를 1로 잡아서 정리했다.
인용
ㄱ. 대 는 소의 2배 정도가 일반적이라는 주장을 적은 댓글이 있다. 이 댓글을 보고 용량을 보니 대충 맞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8/read/31784882
ㄴ. 직접 중국집 여러 곳에서 시켜먹고, 중국집 주방장(사장님) 인터뷰한 영상. 역시 소:대 비율이 1:2 가 나온다고.
측정한 값은 표에 측정인용#1~#4로 적었다.
https://youtu.be/IruOhCiX-GU?t=67
참고자료: 직접 스샷 또는 찍은 사진 모음(접은글). 아마 측정은 안할 것 같고, 무게 올려준 업체 스샷 많이 찍을듯.
더보기
2번
'경험치 자료 > 직접 관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용 우수관 오수관 차이 (0) | 2023.05.10 |
---|---|
철도 복선기(train rerailer) 종류 (0) | 2023.05.10 |
부산 수영구2 마을버스 배차: 실제 정류장에 따른 출발위치 (23.04.) (0) | 2023.05.09 |
베어허그 크렌베리 보드카, 병입 8년만에 먹어보았다. (0) | 2023.04.02 |
화장실 옷걸이 정확한 위치 (0) | 202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