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그린, 페리오, 리스테린, 덴티스테 등 구강청결제는 다양하며 그 용량도 여러 가지다.
보통 뚜껑에 구강청결제 액체를 가득 부은다음 입안에 넣는다. 그런데 큰 제품일수록 뚜껑도 커서, 한번 입안에 머금기 위해 붓는 양이 많았다. 큰 제품만을 이용하면 뭔가 그만큼 빨리 쓰는 기분이랄까?
아껴쓰기 위해서 작은제품과 큰제품을 동시에 산다음, 작은제품의 뚜껑만 쓰면서 그것을 리필하는 식으로 써왔다. 최근에 리스테린의 식감(?)을 비교하기 위해 여러종류를 산김에, 작다라는 애매모호한 표현대신,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SI 국제표준 단위계 ml를 이용해 뚜껑 크기를 비교했다.
측정방법 : 5ml 주사기를 이용해 1ml단위로 뚜껑에 주입.
-----------------------------------------
제품군 : 구강청결제 명칭. 가그린, 리스테린 등
제품용량 : 해당 제품군의 용량. 보통 소(80~100) 중(250) 대(750~1000) 정도로 나뉜다.
뚜껑용량 : 뚜껑위로 액체가 볼록해지기 직전까지 부었을때의 양. 사진의 오른쪽 뚜껑
최대용량 : 더이상 넣으면 액체가 흘러넘치는 양. 사진의 왼쪽 뚜껑
사실 뚜껑용량(Flat) 보다 더 넣으면 손으로 잡고 드는순간 흘러넘친다. 최대용량은 니 입을 뚜껑에 가져가서 빨아들일 때에 들어가는 최대치인 것이다.
빈칸은 내게 제품이 없어서 측정하지 않았다.
내용물 유형이 달라도 통은 같기 때문에 일일히 측정하지 않는다.
의미없다 판단한다음 귀찮아서 측정안한 경우 -로 표기했다.
제품군 | 제품 용량 상대크기 / 절대크기 |
뚜껑용량 Flat |
최대용량 Max |
|
가그린 | 소 | 100 | 8 | 9 |
중 | 250 | 15 | - | |
대 | 750 | ??? | ||
특대 | 1200 | ??? | ||
페리오 | 소 | 85 | 8 | 9 |
중 | 320 | 15 | - | |
대 | ||||
리스테린 | 소 | 80 | 5 | 6 |
중 | 250 | 15 | 17 | |
대 | 750 | 45 | 50 | |
특대 | 1000 | ?? | ||
초특대 | 1500 | ??? | ||
덴티스테 | 소 | 100 | 10 | 11 |
중 | ||||
대 | ||||
입속미인 | 소 | |||
중 | 260 | 20 | - | |
대 | ||||
가글파인 | 소 | |||
중 | 300 | 20 | - | |
대 |
<큰 제품의 추가 기준선>
가그린 250. 10기준선 있음.
페리오 320. 05 나사선까지만 최대로 부은경우
가글파인 300. 10 기준선. 짭스테린
입속미인 260. 10 두꺼운선 13 얇은 기준선
예제 사진
맛 : 가그린 파랑 =< 리스테린 녹차 < 덴티스테 자일리톨 < 리스테린 무알콜 보라 < 리스테린 파랑
'경험치 자료 > 직접 해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2.말: 질병관리청 COOV 앱으로 QR 사용불가. 카카오/네이버로 연동해서 사용. (0) | 2021.12.29 |
---|---|
홈플러스 온라인 네이버연동 회원가입 후 로그인이 안될때: 비밀번호 변경하여 해결 (0) | 2021.12.18 |
향 무게 측정: 보통 개당 0.5g (0) | 2021.12.18 |
특수각삼각형 x,y 길이비율을 정수로 어림셈 (0) | 2021.12.18 |
안경 없이 멀리 보기 : 휴대전화 카메라 사용 (0) | 2021.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