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치 자료/직접 해봄

사주 육친론: 친척 관계도를 보고, 육친 찾아내는 방법

세상을헐렁한옷처럼걸치자 2021. 11. 14. 00:35

시아버지, 시어머니 (시부모)가 며느리(여성)한테 어떤 것으로 작용하는지 궁금했다.

다들 간단히 시부-겁재, 시모-편재 로만 설명하고 끝내놨다.

 

구체적인 사례와 작용은 아래 글을 참고했다.

친척 누구가 나의 ㅇㅇ이다. 하는 구체적인 예제 목록은 아래 역학갤 글로 가시오.
글 좀 내려가서 "2. 남녀의 육친 관계" 부분에 나온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ivination&no=289569 

 

월지 통변 - 역학 갤러리

4장. 월지 통변사주팔자는 육십갑자로 구성되고 음양과 오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주에서 일간의 뿌리와 근거는 월지가 된다. 사주는 일간과 월지와의 밀접한 관계로 이어져 오장육부는 물론

gall.dcinside.com

 

내가 적는 것은, 기준인물 '갑'과 친척관계 '을'이 있을 때 갑한테 을이 어떤 육친(10신)인지 찾아내는 방법이다. 사례 목록이 아니라.

 

전제

  • 0~1촌관계도(아버지,어머니; 본인,남편/부인; 아들,딸)만 있으면 나머지는 다 파생이다.
  • 형제,자매(2촌)는 0~1촌 기초관계도만 가지고 찾아낼 수 있는데, 표에 있는게 활용하기 훨씬 편하니 그냥 넣었다.
    여기서 형제자매 단어는 주민등록등본처럼 사용한다. 형-제/자-매는 손위-손아래 남자/여자로 고정된다. 
  • (초보자는, 음양이 다르다를 성별이 다르다고 인식해도 크게 무리가 없다.)

기본이 되는, 육친론 0~2촌 관계도.

 

이 기초관계도를 여러번 적용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본인은 비견 자리(한가운데 위쪽, 밝은 노랑)에 해당한다.

 

요령

  1. 찾으려는 친척 '을'이 당사자 '갑'과 어떤 관계인지 풀어서 적는다. 아래는 그 예시.
    • 할머니 ▶ 아버지의 어머니
    • 사위 ▶ 딸의 남편
    • 며느리 ▶아들의 아내
  2. 풀어적은 관계도를 중첩하여 계산해 나간다. 역으로 적용하는 것이 편할수도 있다.
  3. 필요하면 육친(10신) 표를 연장한다.
    • 가로: 관성 인성 비겁 식상 재성 을 순서대로 계속 이어붙인다.
    • 세로: 편+ 정+ 를 계속 이어붙인다.
  4. 찾은 육친(10신)의 위치에 해당하는 육친(10신) 값을 가져온다. 

예제

  • 예시1: 남자한테 할아버지가 10신 중 어떤 존재인지 확인.
  • 할아버지는 아버지의 아버지이므로, 아버지 자리(편재)에서 2칸 더 오른쪽으로 이동.
  • 좌표를 찾으면 편인.

(왼쪽그림) 2. 관계도 중첩 작업 (오른쪽 그림) 3 생략하고 4 육친값 찾기

 

  • 예시2: 남자한테 장인어른이 10신 중 어떤 존재인지 확인.
  • 아내의 아버지이므로, 아내 자리에서 아버지 위치로 이동한다.
  • 좌표를 찾으면 편인. 할아버지와 10신은 같으나 찾는 방법이 다르다. 

예시2. 장인어른의 육친(10신) 찾는법

 

 

23.08에 디시글 2번을 표로 정리해 보았다. 디시글에는 시숙, 인수라는 표현이 있는데 나는 시아주버니, 정인으로 고쳤다.

  • 여기서 앞에 머릿말 외 / 시 / 처 3종류가 안 붙는다면, 머릿말 친(남자에서 남자로 이어지는 계보)으로 사용된다.
    특히 손자녀 = 친손자녀 = 나의 아들의 아들딸. 이므로 외손자녀 = 나의 딸의 아들딸 과 구분된다.
  • 시숙의 한자어 풀이는 (시+숙)이므로 남편의 아재비(3촌)인데, 실제로는 남편의 형제(2촌)을 가리키는 말로 다르게 쓰이므로 아예 사용을 안한다.
  • 인수 = 정인+편인 인데, 손자와 사위도 음양이 구분되므로 정확한 위치를 찾아서 넣었다.